해싱 해시테이블에서도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. 주어진 키에, 해시 함수를 적용하고, 테이블의 총 크기/길이로 나눈 나머지 값을, 즉 modular(%)연산의 값으로 서버 인덱스를 가지는 개념이다. 로드밸런서로 라우팅 시에 아래와 같이 해싱을 통해 처리해줄 수 있다. Request ID 추출 : IP, User ID, 몇번째로 Request를 요청했는지에 대한 순서, … Hash(Request ID)를 통한 해시값 도출 주어진 해시값에 따라 라우팅 문제점 위와 같이 어떠한 갯수, 크기에 따라서 해시 처리를 하면, 갯수, 크기가 변하면 모든게 변하게 된다. 위 이미지에서는 총 크기를 5로 잡았는데, 만약 4로 변경하게 된다면 아래와 같이 많은 데이터가 다른 인덱스를 가져야한다. 이렇게 버킷이 추가되거나 삭제됨..